String Convert to List Structure && Built-in function with string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리스트로 변환하는 것은 매우 쉽습니다! 뭐 딱히 설명할 내용은 없지만,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하거나, 프로그램을 작성하면서 어려움을 겪으시는 분들이 여러 계시더군요! 물론 부끄러운 게 아닙니다. 저도 몰랐고, 어떤 개발자들도 시작 단계에서는 알 수가 없으니까요!
그럼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면~
1
2
3
4
|
>>> stringValue = "Hello My name is gildong"
>>> stringToList = list(stringValue)
>>> stringToList
['H', 'e', 'l', 'l', 'o', ' ', 'M', 'y', ' ', 'n', 'a', 'm', 'e', ' ', 'i', 's', ' ', 'g', 'i', 'l', 'd', 'o', 'n', 'g']
|
cs |
가장 기본적인 형태에서 list로 변환할 때는 위와 같이 변환하면 됩니다. 하지만 보통 검색하신 분들은 위와 같은 결과를 원하진 않겠죠? 뭐 예를 들자면, [hello, my ... ]과 같은 형태를 원하기 때문에 검색하신 거겠죠? 아님 말고요..ㅎㅎㅎ
여하튼 그러한 방식으로 되려면 파이썬의 문자열 내장 함수를 이용해서 변환해주어야 합니다. 뭐 너무나도 많은 내장 함수들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문자열 내장 함수만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1. split()
1
2
3
|
>>> stringToList2 = stringValue.split(" ")
>>> stringToList2
['Hello', 'My', 'name', 'is', 'gildong']
|
cs |
split() 내장 함수를 사용하게 되면 위와 같이 변환이 완료됩니다. 즉, " "이라는 공백 문자열을 기준으로 해서 분할하라는 명령을 내포하고 있는 함수니까요~
2. 반복
1
2
3
4
5
6
7
8
9
10
|
>>> for i in stringValue:
... print(i)
...
H
e
l
l
o
...
|
cs |
파이썬은 반복과 생성 등 이터레이션 기능에 아주 강력한 퍼포먼스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이는 아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니, 다른 언어들에 비해 간단한 알고리즘 문제 해결에도 많이 이용되며, 데이터 분석 등에도 이용 많이 되는 것입니다.
3. 문자열 합치기
1
2
3
4
5
6
|
>>> google = "google"
>>> isa = "is"
>>> a = "a"
>>> awesome = "awesome"
>>> google + " " + isa + " " + a + " " + awesome
'google is a awesome'
|
cs |
파이썬에서의 문자열은 간단하게 이항 연산자 중 하나인 "+"를 이용해 문자열을 쉽게 병합할 수 있습니다. 물론 " " <- 과 같은 공백 문자열은 물론, 모든 문자열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4. 문자열 출력
1
2
3
4
5
6
|
>>> print(f'{google} is awesome')
google is awesome
>>> print("{google} is awesome".format(google = google))
google is awesome
>>> print(google + " is awesome")
google is awesome
|
cs |
표준 출력에서 문자열을 보간할 수 있는 방법은 위의 대표적인 3가지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첫 번째는 따옴표 이전에 f키워드를 사용해서 마치 다른 스크립트 언어의 ${google}과 비슷하게 출력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독성을 위해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두 번째 format() 함수는 {} 내부에 선언된 변수에 대응되는 대응 값을 대입함으로써 출력됩니다. 그리고 아래에는 문자열 합치기에서 봤던 모습이죠? 그렇게도 출력이 됩니다!!
5.replace()
1
2
3
|
>>> exampleString = "google is a Awesome"
>>> exampleString.replace("google", "apple")
'apple is a Awesome'
|
cs |
replace() 내장 함수는 진짜 많이 사용됩니다. 즉, 첫 번째 인자에는 바꾸고자 하는 값이고, 두 번째 인자에 오는 값은 바꾸고자 하는 값에 대입하고 싶은 값입니다!! 뭐 너무 간단하죠?
6. 문자열 인덱싱
1
2
3
4
5
6
7
8
9
10
11
12
|
>>> exampleString[0]
'g'
>>> exampleString[0:5]
'googl'
>>> exampleString[0]
'g'
>>> exampleString[0:6]
'google'
>>> exampleString[:-1]
'google is a Awesom'
>>> exampleString[-1:]
'e'
|
cs |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인덱싱이 마치 리스트와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자열 액세스가 너무 편리하고, 강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죠!! 위의 예제를 한번 쭉 읽어보시면, 인덱싱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알 수 있을 겁니다!!
이상 문자열을 대표하는 함수만 소개해드리려 했는데, 하다 보니 이것저것 더 설명드리게 되네요... 물론 필요하신 지식을 채우신 분이 있다면! 그걸로 만족합니다. 다음번엔 파이썬에서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오류 해결법에 대해서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댓글로 피드백, 문의, 궁금한 점 모두 환영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_Class#1] 파이썬 Class 손 쉽게 이해하기!! (0) | 2020.12.08 |
---|---|
파이썬 dict && DefaultDict 다루기!! 이 정도면 편하게 쓴다! (0) | 2020.12.01 |
자료구조[3]-이진트리(python) (1) | 2020.06.03 |
자료구조[2] - Queue(python) (0) | 2020.06.02 |
자료구조[1]-STACK(python) (0) | 2020.06.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