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9 트리자료구조_on c[1] 본 포스트는 c언어를 중심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트리자료구조_on c[1] 저번 스택, 큐에 이어 트리 자료구조에 대해 포스팅을 할까 합니다. 트리 말 그대로 트리입니다. 나뭇가지 처럼 뻗어져 나가는 것 처럼 생겼습니다! 아주 쭉쭉 뻗어져 나가는 것이 보기 좋습니다! 위를 보듯 트리자료구조는 리스트, 스택, 큐 와 다르게 1:1 선형구조가 아니라 1:다, 즉 1:n 의 비선형 자료구조를 지닙니다. 흔히 계층형 자료구조라고도 합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가족 관계도, 기관의 조직도 등이 이에 속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위의 논리적 구조를 따릅니다. 최상단에 위치한 노드가 최상위 노드, 즉 트리의 시작점이 됩니다. 최상단 트리는 현재 7개의 노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시작하는 노드를 루트라고 합니다. .. 2020. 3. 4. 큐에 대한 가벼운 생각 본 포스트는 c언어와 뇌내 생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큐에 대한 가벼운 생각 스택도 있고 아직 포스트를 하지못한 데크도 있는데 큐를 써야하는 이유는 뭘까 생각해보았습니다. 이는 결국 컴퓨터 운영체제 와 맞물려 있던 것 같습니다. 자세한 건 물론 구글링이나 msdn을 참고해 생각을 보충하면 되지만, 그전에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앞서 포스팅을 하고 가볍게 생각해보려합니다. 컴퓨터 운영체제는 우리도 모두 알다시피 요청한 작업을 차례대로 처리합니다. 쉽게 생각하자면, 프로그램 a,b가 있을때 a를 먼저 실행시키고 b를 그 후 실행시키면 a뒤에 b가 프로세스작업에 따라 붙는 이런 상황들 때문인거죠. 이 말은 즉슨 "최적화가 용이하다" 라고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운영체제에서의 큐는 그럼 어떻게 동작되는지 가볍게 .. 2020. 3. 2. 큐가 뭔가요!( C,Queue)[2] 본 포스트는 c언어를 중심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큐가 뭔가요!( C,Queue)[2] 저번 포스트에 이어 계속 포스트 해왔던대로 이번엔 연결리스트를 통한 구현을 해보겠습니다. 저 또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순차자료구조, 연결자료구조 이거 두개 다 뭐 구현이 가능한데? 왜 나눠서 구분 짓고 이럴땐 이렇게 사용하고 저럴땐 저렇게 사용할까? 라는 의문을 가져보았습니다. 구글링을 열심히 해본결과로는 순차자료구조를 이용해 구현한 큐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합니다. 앞서 포스트에서도 기술했듯이 배열의 크기가 고정되므로 큐의 길이를 유동적으로 변화 시킬 수 없으며 데이터가 없어도 항상 고정된 크기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누수 문제가 심각하다는 이유입니다. 즉, 3번지 3 4번지주소-> 4번지 4 null first 포.. 2020. 3. 2. 큐가 뭔가요!!(c_queue) 본 포스트는 c언어를 중심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큐가 뭔가요!!(c_queue) 위 사진은 당구장을 가보신 분이라면 아시듯이 당구 큐대입니다. 본인은 4구 150에 쓰리쿠션 100정도의 이상한 평균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ㅋㅋㅋ그냥 가져와봤습니다. 큐에 대해서 설명을 간략하게 이어나가겠습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큐또한 스택과 같이 데이터를 저장하는공간을 의미합니다. 앞서서 스택은 후입선출방식을 따릅니다. 그렇다면 큐는 어떤 특성을 가질까요 스택 큐 공통점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제한되는 순서리스트라는 점에서 스택과 동일합니다. 차이점 LIFO방식을 따릅니다. FIFO방식을 따릅니다 FIFO방식은 무었을 의미할까요? First in First out을 의미합니다. 먼저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삭제된다는 것이죠.. 2020. 3. 2.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