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14 파이썬 리스트 중복제거! 본 포스트는 파이썬3.7에서 작성되었습니다. 파이썬 리스트 중복제거! 공부하다가, 리스트에서 중복제거를 어떻게 해줄까? 고민하다가 그나마 제일 일반적인 방법을 찾아서 알려드리려 합니다.ㅎㅎ 의미있게 로또번호를 추출하는 프로그램으로 작성해서 올리겠습니다. 파이썬에서 리스트 연산은 대부분 atomic연산을 지원합니다. 그래서 난수 값을 append할때에 중복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파이썬 자료구조 중에는 중복을 지원하지 않는 집합자료구조가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서 보여드리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import random def lotto(): a = [] for i in range(6.. 2020. 4. 2. 파이썬에서의 추상데이터타입![2] 본 포스트는 python3.7, pycharm환경에서 작성되었습니다. 파이썬에서의 추상데이터타입![2] 지난 시간은 앞서서 스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큐는 스택과 다릅니다. 우선 비교표를 보겠습니다 스택 큐 공통점 데이터를 담는 추상데이터 타입 배열의 인덱스 엑세스가 제한 차이점 후입선출 방식 선입선출 방식 위와 같은 특징을 지닙니다. 그렇다면 활용될 수 있는 동작을 알아봅시다. enqueue() 큐 항목에 데이터 삽입 dequeue() 큐 맨 앞 항목을 반환하고 제거 peek/front() 큐 맨 앞 항목을 조회 empty() 큐가 공백인지 확인 size() 큐의 크기를 반환 그렇다면 코드로 큐를 구현해 보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 2020. 3. 2. 파이썬에서의 추상데이터타입![1] 본 포스트는 python3.7, pycharm환경에서 작성되었습니다. 파이썬에서의 추상데이터타입![1] 앞서서 c에서의 스택과 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객체지향언어인 파이썬에서는 어떻게 구현될까요? 우선 c에서의 데크는 구현하지 않았기 때문에 스택과 큐만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추상데이터 타입(Abstract Data Type이하 adt)은 전체적인 자료구조의 클래스에 모델을 가르킵니다. 자료구조는 크게 배열기반의 연속방식과 포인터 기반의 연결 방식으로 분류합니다. 연속방식 포인터 기반의 연결 방식 연속적으로 할당된 자료구조 즉, 단일 메모리에 물리적으로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메모리 조각인 메모리 슬래브로 구성됩니다. 유형 : 문자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포인터에 연결되는 메모리 청크 .. 2020. 3. 2. 파이썬_객체지향(class,module)[3] 본 포스트는 python3.7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파이썬_객체지향(class,module)[3] 포스팅을 하기 전 문득 이 생각이 들었습니다. 객체지향과 절차지향, 필자는 계속해서 c와 python 두개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사실 두 언어는 큰 차이점이 없습니다. 물론 이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c는 포인터변수도 있고~ 메모리 관리도 해줘야되고 개발자가 직접 이래라 저래라 다해야되고 파이썬은 가상환경이라 다해주는거 아니냐?!!! 맞는말입니다. 하지만 python의 심화부분으로 들어가면 c와 마찬가지로 최적화 문제에 결국은 부딪히게 됩니다. 필자가 python으로 이미지프로세싱 관련 프로그램을 개인적으로 제작할 때에 사실 최적화가 똥망이라 ioexception, overflow를 .. 2020. 2. 20. 이전 1 2 3 4 다음